728x90 밸류에이션9 [밸류에이션] 주식 위험 프리미엄(Equity Risk Premium) - 주식 위험 프리미엄 -주식투자는 원금이 보장되지 않을 뿐더러 현금흐름으로 들어오는 배당의 경우에도매수 당시에 확정이 되는 것이 아니고 향후 상황에 따라 가변적입니다.즉, 원금과 이자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보장되는 예적금이나 국채투자보다주식투자는 추가적인 위험이 뒤따른다고 할 수 있고, 투자자들은 그 위험을 감수하는 대가로추가적인 보상이 주어져야 투자를 결정할 것입니다.이 추가적인 보상을 주식 위험 프리미엄(Equity Risk Premium, ERP)이라 하며,주식에 투자했을 때의 기대 수익률에서 무위험자산(국채)에서 제공되는 수익률을 빼서 구해집니다.이렇게 계산되는 ERP는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간의 상대적 매력도를 비교해주는 지표가 되며현재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위험선호 심리가 과열되었는지 판단하는.. 2024. 11. 24. [밸류에이션] M2 대비 주가지수 - M2 대비 주가지수 -광의통화(M2)는 시중의 현금성 유동성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대표적인 통화 지표입니다.M2가 증가한다는 것은 시중의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있음을 의미하고,이는 곧 장기적으로 물가 상승 및 자산시장의 상승에 강력한 순풍이 되어 줍니다.주가지수 또한 M2통화량과 큰 흐름에서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게 되는데주가지수를 M2와 비교하면 주가가 실제 경제의 유동성 수준에 비례해서 상승했는지,혹은 과도하게 벗어났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M2 대비 주가지수는 말 그대로 주가지수를 M2통화량으로 나누어 계산됩니다.널리 알려진 올드스쿨 밸류에이션 지표인 버핏 지수와 유사하지만명목 GDP 대신 M2통화량을 사용했다고 보면 됩니다. GDP 같은 경우는 국내총생산이기 때문에 글로벌 사업을 하는 기업이 .. 2024. 11. 22. [밸류에이션] Brock Value - Brock Value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 레벨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올드스쿨 지표로는 버핏 지수와 쉴러 지수가 있습니다.Brock Value는 또다른 주가지수 밸류에이션 지표로써 위 지표들 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현재까지도 비교적 높은 정합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Brock Value는 미국의 GDP를 AAA 등급 mid-term 회사채 이자율로 나눈 값으로 간단하게 계산됩니다.GDP는 국가 경제 전반의 성과를 나타내기에 장기적으로 해당 국가의 주가지수와 상관관계를 가집니다.AAA 등급 회사채 이자율은 S&P500 기업과 같은 우량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할때 부담해야하는 비용을 의미하는데회사채 이자율이 높으면 자본 비용이 증가하여 기업의 수익성이 낮아지고, 주식 대비 채권의 매력도가 증가하며,미래 현.. 2024. 10. 27. [밸류에이션] 쉴러 지수 (Shiller's CAPE) - 쉴러 지수 - Shiller의 CAPE(Cyclically Adjusted Price-to-Earnings Ratio)는 버핏 지수와 함께 유명한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 지표로,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Robert Shiller)가 개발하였습니다.CAPE는 전통적인 P/E(주가 대비 순이익) 비율의 변형으로 현재 주가(보통 S&P500 주가지수)를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조정한 과거 10년 동안의 순이익 평균으로 나누어서 계산됩니다.단기적인 경기 변동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당해 연도나 분기가 아닌 10년간의 이익을 사용하며,과거의 이익을 현재의 가치와 비교할 때 화폐가치 하락에 의해 생기는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인플레이션률(CPI)에 맞춰 과거 순이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는 방식을 활용합니다. .. 2024. 10. 20. [밸류에이션] 버핏 지수 (Buffett Indicator) - 버핏 지수 -버핏지수(Buffett Indicator)는 주식시장이 현재 과열되었는지, 저평가되고있는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워렌버핏이 과거 인터뷰에서 '적정 주가지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단일 척도'라고 말하여 유명해졌고이후 버핏지수라 불리고 있습니다.버핏지수는 주식시장의 전체 시가총액(TMC)을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비율(%)로 구해집니다.한국 증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TMC/GDP 비율을 구하여 한국의 버핏지수를 구할 수 있겠지만통상 버핏지수라 함은 미국의 TMC/GDP을 말합니다.버핏지수가 낮은 수준이라면 생산 능력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영역,버핏지수가 높은 수준이라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고그 수치가 매우 높다면 현재 증시는 버블이 껴있.. 2023. 1. 1. 가치평가(Valuation)의 의미, 분류, 방법 - 가치평가 -가치평가(valuation)란 주식투자에 있어 기업의 가치(Enterprise Value, EV)를 매기는 것을 말하며,더 넓은 의미로는 가치를 매길 수 있는 모든 유무형의 대상에 대해 가치를 매기는 것입니다.어떤 자산에 투자를 하든 사전에 해당 자산의 현재 가치를 계산하고 기대되는 미래 가치를 예측해보는가치평가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투자 결정은 결국 자신의 투자 의사결정 체계를 모델링하는 것이기에밸류에이션을 Financial Modeling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가치평가 방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한 가지 대표적인 분류는절대적 가치평가(absolute valuation)와 상대적 가치평가(relative valuation)의 구분입니다.기업의 가치평.. 2022. 11. 15. [재무비율] 상대적 가치평가 (PER, PBR, PSR, PCR, EV/EBITDA)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좀 더 유의미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정보를 얻어내야 합니다.이렇게 분석하는 방법을 재무비율분석이라고 하며 안정성/성장성/수익성/활동성/기업가치 5가지 지표가 있습니다.오늘은 PER, PBR, EV/EBITDA 같은 중요한 상대적 가치평가(valuation) 지표를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상대적 기업가치 지표는 현재 기업의 주가가 펀더멘털 대비 어느정도 배수(multiple)로 평가받고 있는지로 계산되며,유사기업과 비교를 통해 해당 기업의 주가가 싼지 비싼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 2022. 7. 13. [리츠 분석] PBR 말고 P/NAV로 자산가치 평가하기 - 주식과 리츠의 차이 - 일반 기업을 가치평가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중 하나는 PBR(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PBR을 계산할 때 순자산은 장부상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는데요. 이를 리츠에 그대로 적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리츠의 경우 부동산의 가격변화가 수익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의 경우 장부가치가 실제 부동산의 가치를 반영하기 어렵고 거래가 안 일어나면 시가도 알 수 없으니 의미있는 자산가치를 알기 위해선 감정평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매 반기,분기별로 독립적인 부동산평가법인이 수행하는 감정평가로 계산한 공정가치인 NAV가 리츠의 순자산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 NAV - NAV(Net Asset Value)는 우리말로 번역하면 순자산가치라고.. 2022. 6. 27. [리츠 분석] PER 말고 P/FFO로 수익성 평가하기 - 주식과 리츠의 차이 - 리츠는 일반적인 주식과 다른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에 리츠를 평가 분석할 때 사용되는 기본적 지표들도 주식의 기준과는 다소 상이합니다. 주식에는 가장 유명한 밸류에이션 지표로 PER이 있죠. 하지만 리츠 회사는 PER이 그다지 의미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없습니다. 리츠투자의 가장 큰 목적은 꾸준한 배당이기 때문에 당기순이익보다는 현금흐름이 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기순이익 대신 FFO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곤 합니다. - FFO - FFO는 Funds From Operations의 약자로 회계상으로는 영업활동현금흐름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아래 FFO 계산식을 보면 당기순이익에서 감가상각비를 더하고 자산매각으로 인한 차익을 빼서 구해집니다. FFO = Net Inco.. 2022. 6. 2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