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추세10

NAAIM 익스포저 지수 - NAAIM 익스포저 지수 -NAAIM 익스포저 지수(NAAIM Exposure Index)는 미국의 액티브 자산운용사들의 주식시장에 대한 평균 포지션 비중을 측정한 심리지표입니다.이 지수는 전미 액티브 투자매니저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Active Investment Managers)가 매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자기 포트폴리오에서 주식에 어느 정도 비중을 두고 있는지"를 설문하여,그 응답의 평균값을 계산해 발표합니다.예를 들어, NAAIM 익스포저 지수의 수치가 50%면 매니저들은 평균적으로 전체 운영 자금의 절반을 주식으로 보유했음을 의미하며,100% 이상의 경우 레버리지 롱 포지션을, 0% 이하의 경우 숏 포지션을 보유 중임을 나타냅니다.이 지수는 액티브 기관 투자자들의 .. 2025. 6. 3.
[추세지표] DMI ② 보조지표 ADX 먼저 DMI(방향성지수)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DMI ①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MI와 주로 함께 사용되는 ADX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정의 - - Average Directioinal Movement Index의 약자로 평균방향성지수로 번역됩니다. - 추세의 방향에 대한 정보 없이 추세의 강도만을 측정합니다. - 계산 - DMI와 마찬가지로 계산이 좀 복잡해서 넘어가셔도 무방하나 계산식을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DMI ①에서 다룬 DI 계산식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DX : |(+DI) - (-DI)| / {(+DI) + (-DI)} ADX : DX의 m일 지수이동평균 x 100 - 설정 - - ADX 지표의 변수는 DI를 지수이동평균할 때 사용되는 기간(n)과 DX를 .. 2022. 10. 4.
[시장강도지표] MFI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 정의 - - Money Flow Index의 약자로 자금흐름지수라고 번역됩니다. - 대표적인 시장강도 지표로 자금의 유입 강도를 나타냅니다. - RSI 지표에 거래량까지 함께 고려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 계산 - TP(typical price) : (당일 고가 + 당일 저가 + 당일 종가) / 3 RMF(raw money flow) : TP x 거래량 PMF(positive money flow) : 일정 기간(n) 동안에 전일 대비 TP가 상승한 날의 TP 총합 NMF(negative money flow) : 일정 기간(n) 동안에 전일 대비 TP가 하락한 날의 TP 총합 MFR(money flow ratio) : PMF / NMF MFI(money flow index) : MFR / (1 +.. 2022. 7. 30.
[변동성지표] 볼린저밴드 ③ DBB 기법 먼저 볼린저밴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볼린저밴드 ①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밴드를 사용한 매매 기법 중 하나인 DBB(더블 볼린저밴드) 기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 설정 - - 2개의 볼린저밴드를 띄워줍니다. - 기간(n)은 둘 다 20일로 설정하고 표준편차 배수(k)는 각각 3과 0.5로 설정합니다. - 그럼 밴드가 아래와 같이 상단밴드, 중립밴드, 하단밴드 세 구간으로 나눠집니다. - 활용전략 - - 캔들이 중립밴드 상단선(하단선) 돌파 시 롱(숏) 진입 - 상단밴드의 상단선(하단선) 근처까지 도달 시 부분 익절 - 캔들이 다시 중립밴드로 들어오면 포지션 종료 - 주의할 점 - - 추세장에서는 첫번째 익절 신호에서 많이 덜어내면 기회비용이 클 수 있으므로 1/4 또는.. 2022. 7. 29.
[보조지표 조합] RSI + MACD - RSI & MACD - RSI는 가장 대표적인 모멘텀지표이며, MACD는 대표적인 추세지표입니다. RSI는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알려주며, 이를 통해 현재 주가가 과매도/과매수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MACD는 두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활용하여 주가의 추세 전환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두 지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RSI, MACD 이전 포스팅 참고 바랍니다. 각각의 지표는 매우 효과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지표이지만 단점 및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RSI 같은 경우는 추세장에서는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고 박스권에서 잘 먹히는 반면, MACD는 추세가 강하게 형성된 구간일수록 더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RSI 같은 경우는 매매 타이밍을 너무 빨리 잡은 경우가 발생하고 MACD의 경우 매매 타이밍.. 2022. 7. 24.
[추세지표] MACD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 정의 - -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 - 말 그대로 이동평균선 간 수렴/확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지표 - 장기. 단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통해 주가의 추세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추세지표 (※ MACD를 이해하려면 이동평균선의 개념이 있어야하므로 이전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 계산 - MACD : 단기 이동평균선 - 장기 이동평균선 Signal(시그널) : MACD의 이동평균선 Histogram(히스토그램) : MACD - Signal - 설정 - - 변수는 세 개의 기간(단기, 장기, Signal)이 있습니다. - 가장 보편적인 셋팅은 (12, 26, 9)이며, 가끔 (10, 20, 9)를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 이동평균선으로는 대부분 지수이.. 2022. 7. 23.
[모멘텀지표] RSI ③ 더블 RSI 기법 먼저 RSI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2개의 포스팅 [모멘텀지표] RSI, 다이버전스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를 사용한 매매 기법 중 하나인 더블 RSI 기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 설정 - - 2개의 RSI를 겹쳐서 그려줍니다. - 각각 기간을 2, 14로 세팅합니다. - 캔들은 15분봉, 1시간봉, 4시간봉, 일봉 정도가 적당합니다. - 활용전략 - - 상승 추세로 RSI(14)가 50 위에 머물러있을 때, RSI(2)가 20 이하로 내려오면 다시 RSI(2)가 20으로 올라갈 때 매수(롱) 타이밍 - 하락 추세로 RSI(14)가 50 아래에 머물러있을 때, RSI(2)가 80 이상으로 오르면 다시 RSI(2)가 80으로 내려올 때 매도(숏) 타이밍 - 주의할 점 - - 추세가.. 2022. 7. 21.
[모멘텀지표] RSI ② 다이버전스 먼저 RSI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모멘텀지표] RSI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에서 더욱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이버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 정의 - - 다이버전스(divergence)는 우리말로 하면 발산, 일탈, 차이를 뜻합니다. - 차트분석에서 다이버전스란 주가와 보조지표간에 서로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 종류 - 1. 일반 다이버전스(Regular Divergence) Bearish: 상승장에서 주가의 고점은 높아지는데 RSI의 고점은 낮아지는 경우 하락반전 예상 Bullish: 하락장에서 주가의 저점은 낮아지는데 RSI의 저점은 높아지는 경우 상승반전 예상 - 일반 다이버전스는 RSI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증가합니다. 2... 2022. 7. 20.
[모멘텀지표] RSI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 정의 - -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상대강도지수라고 번역됩니다. -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로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 주가의 과매수/과매도를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계산 - U(up) : 전날 주가보다 오늘 주가가 상승할 때의 주가 상승폭 D(down) : 전날 주가보다 오늘 주가가 하락할 때의 주가 하락폭 AU(average ups) : 일정 기간(n) 동안의 U 평균값 AD(average downs) : 일정 기간(n) 동안의 D 평균값 RS(relative strength) : AU / AD RSI(relative strength index) : RS / (1 + RS) = AU / (AU + AD) - 설정 - - 변수는 기간(n) 하나뿐입니.. 2022. 7.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