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실질금리3 10년물 국채금리의 구조와 그 경제적 의미 - 시장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기준금리와 같이 중앙은행이 직접 결정하고 조절하는 금리를 정책금리라고 하며,채권 또는 금융상품의 이자율이 시장 내 수급에 따라 결정되게 되면 시장금리라고 칭합니다.보통 언론에서는 10년물(장기) 국채 금리를 대표적인 시장금리로 지칭합니다.10년물 금리는 물가, 경기,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를 반영하는 금융시장의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그 수준은 통화정책의 방향뿐 아니라 민간의 투자·소비 결정 및주택담보대출, 기업 대출 등에 영향을 주어 실물경제 전반에 파급 효과를 미칩니다.또한, 주식 등 위험 자산의 가치평가(밸류에이션)에 있어 할인율로 자주 활용되기 때문에탑다운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10년물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 조달.. 2025. 4. 26. 투자자산으로써의 금 (수요, 공급, 변수, 가격전망) - 금의 수요 -어떤 재화의 가격이란 결국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결정되기 때문에미래의 금의 가격에 대해 고찰해보기 위해 먼저 금의 수요 측면을 살펴보겠습니다.금의 수요는 크게 장신구용, 산업용, 투자용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아래 자료에 의하면 2019년 장신구용이 45%, 산업용이 10%, 투자용(중앙은행 포함)이 4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1997년부터 2020년까지 추세를 볼 때 장신구용의 비중이 줄어들고 투자용이 늘어나고 있으며산업용은 쭉 10% 정도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장신구 수요를 들여다보면 지난 60년간 장신구 매출은 우상향해 왔지만1970년대부터는 지수적(exponential)으로 상승했다기보단 선형적(linear)하게 상승해 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연간상승률.. 2022. 9. 30.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 이전 포스팅에서 기준금리에 대해 다뤄보았는데요. https://jatechpedia.tistory.com/31 이번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명목금리 - 각 나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에서 기준금리를 결정되면 시장금리는 기준금리의 영향을 받아 같이 변동합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시장금리도 올라가고,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시장금리도 떨어지죠. 여기서 시장금리란 정부나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금리, 민간금융기관이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예금금리와 대출금 및 금융회사 간의 거래에 적용되는 콜금리 등 금융시장에서 사용되는 금리를 아우릅니다. 이렇게 시장에서 금융상품을 거래할 때 눈에 보이는 금리가 바로 명목금리(nominal interest rate)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예금상품.. 2022. 7. 7. 이전 1 다음 728x90